연극 '만선'의 한 장면 (국립극단 제공)


국립극단(단장 겸 예술감독 박정희)의 2025년 첫 제작 작품인 연극 ‘만선’이 오는 30일까지 국립극단 명동예술극장에서 관객들과 만나고 있다.

‘만선’은 한국 현대 창작 희곡을 대표하는 고(故) 천승세 극작가 작품으로 1964년 국립극장 희곡 현상공모에 당선 후 같은 해 7월 초연(연출 최현민)되었고, 천승세 극작가에게 제1회 한국연극영화예술상(현 백상예술대상)에서 신인상의 영예를 선사했다. 이후 국립극단 70주년 기념작으로 2020년 윤미현 윤색과 심재찬 연출의 손을 거쳐 제작하였으나, 코로나19로 인해 다음 해인 2021년에 정식으로 첫선을 보였고 이듬해인 2023년에도 관객들과 만났다.

천승세 작, 윤미현 윤색, 심재찬 연출로 2년 만에 다시 무대에 오르는 ‘만선’은 남해안 작은 섬마을에서 평생 배 타는 일밖에 몰랐던 ‘곰치’와 그 일가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이야기로 살기 위해 바다로 뛰어든 어부의 비극적인 숙명과 함께 1960년대 산업화의 그늘에 가려져 있던 서민들의 무력한 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린 연극이다.

특히, ‘만선’은 ‘한국적 사실주의 연극의 정수’로 지난 2020년 윤색 작업을 거치면서 여성 캐릭터들의 성격을 원작보다 소신 있고 당차게 설정해 조신하고 고분고분한 한국적 여성의 전통적인 이미지를 탈피했고, 극 후반부에는 곰치네를 뒤덮은 풍파를 무대 위로 쏟아지는 5톤 분량의 거센 비바람으로 객석까지 파도가 고스란히 휘몰아치는 듯한 몰입감을 선사했다.

또한, 만선은 국립극단의 2025년 첫 번째 제작 작품이기도 하며, 2023년 공연에 참여했던 창작진과 배우들 전원이 다시 한번 의기투합해 작품의 완성도를 더욱 높였으며, ‘한국적 사실주의’의 대가로 불리는 심재찬 연출과 제31회 이해랑연극상 수상자인 이태섭 무대디자이너 등 주요 창작진을 비롯해 ‘곰치’ 역의 김명수 배우, ‘구포댁’ 역의 정경순 배우는 물론 김재건, 김종칠, 박상종, 조주경, 김경숙, 정나진, 황규환, 문성복, 강윤민지, 성근창 등 모든 배우들이 만선에 함께 승선한다.

“그물을 손에서 놓는 날에는 차라리 배를 갈르고 말 것이여.”

심재찬 연출은 “지난 공연할 때 앙상블, 팀워크에 대한 칭찬이 연출가로서 제일 기뻤다. 다시 한자리에 모이는 게 쉽지 않은 일인데, 다 함께 만선에 승선하게 되어 감사할 따름이다. 2년 동안 세상은 많은 변화를 겪었고 그 속도도 정말 빨랐다. 그 변화만큼 작품에 새로움을 더하는 일이 쉽지 않기에 부담감과 책임감이 따르지만, 이번 공연에는 도삼, 슬슬이, 연철 등 젊은 세대들이 자신의 삶을 더 중요하게 여기고 이를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도록 디테일한 부분들을 더 다듬을 생각이다.”며 소감을 전했다.

만선은 작품의 중심축에서 등장인물들의 갈등을 불러일으키는 것과 동시에 각기 다른 의미를 내포함으로써 관객들의 다양한 공감대를 자극해 만선을 향한 ‘곰치’의 집념이 강해질수록 그의 운명은 비극으로 치닫게 되고 한 인간으로서 오롯이 존재하고자 하는 의지를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바다라는 거대한 세상을 향해 맞서는 ‘곰치’에게 만선은 정직하게 살아온 대가인가 하면, ‘구포댁’에게 만선은 지금 이 삶의 굴레를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이다.

연극 '만선'의 5톤의 물이 쏟아지는 장면 (국립극단 제공)

아들들을 바다에서 모두 잃은 ‘구포댁’은 어떻게든 뭍으로 가고자 하며, 만선을 통해 이룰 수 있을 거란 환상을 품고, ‘슬슬이’의 경우 만선을 진정한 자신의 세계를 찾는 기회로 생각하고 있다. 집에서는 부모에게 순종하지만, 바깥에 나오는 순간 ‘연철’과의 달콤한 미래를 꿈꾸는 평범한 젊은 여성이라는 점이 만선을 두고 기성세대와는 다른 가치관을 보여준다.

심재찬 연출은 ”우리 고전도 정말 괜찮은 작품들이 많지만, 그대로 무대화할 수 없는 부분들이 있다. 그럴 때마다 작품을 마주하기 전에 내가 먼저 스스로 바뀌려고 노력한다. 새로운 시각에서 볼 때 그제서야 보이는 것들이 분명히 있기 마련이고, 그걸 지금의 관객들과 나누는 것이 연출가로서 내가 이어가야 할 ‘한국적 사실주의’이지 않을까 하는 고민을 하고 있다.“며 작품에 대한 기대감을 표출했다.

연극 만선 포스터(국립극단 제공)


한편, ‘만선’은 극작 이후 60여 년의 세월 속에 경제적 착취 구조와 빈부 격차에서 오는 상대적 박탈감과 신구 세대 간 갈등까지 작품을 관통하는 메시지로 관객에게 더욱 진한 울림을 전한다. (예매는 국립극단 홈페이지와 인터파크 티켓에서 가능하며 R석 6만원, S석 4만5천원, A석 3만원)